loading
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지방세납세증명서 발급

by 생활구루 2023. 4. 14.
반응형

 

 

 지방세납세증명서발급일 현재 지방세 체납액이 없다는 것을 증명하는 서류입니다.  해외로 거주지를 옮기거나 대금을 지급할 때 지방세납세증명서가 필요한 경우가 종종 생기는 데요. 이번 글에서는 지방세납세증명서 발급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방문발급

지방세납세증명서는 방문해서 발급이 가능하며 방문발급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발급시 수수료는 따로 없습니다.

 

1. 접수 및 처리기관: 시, 군, 구청 및 읍, 면, 동 주민센터

 

2. 신청시 구비서류

 가. 본인이 신청하는 경우: 신분증(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국가유공자증, 장애인등록증, 외국인등록증,

      여권)

 

 나. 대리인이 신청하는 경우: 대리인 신분증, 위임장, 위임인의 신분증(법인은 인감증명서, 사용인감계,

       대표자 신분증 중 1개) 제시

 

 다. 법인 대표자가 신청하는 경우: 법인대표자의 신분증, 법인등기사항증명서

 

 라. 상속인이 신청하는 경우: 상속인의 신분증, 가족관계증명서 또는 주민등록등(초)본

 

 마. 미성년자의 법정대리인이 신청하는 경우: 법정대리인의 신분증, 가족관계증명서 또는 주민등록증(초)본,

       후견인 증빙서류

 

 바. 법정대리인이 신청하는 경우: 법정대리인의 신분증, 법정대리인 증빙서류

 

지방세납세증명서
지방세납세증명서
지방세납세증명서
지방세납세증명서
지방세납세증명서
지방세납세증명서
지방세납세증명서
지방세납세증명서
지방세납세증명서

 

인터넷발급

지방세납세증명서는 인터넷으로도 발급이 가능한데요, 구체적인 발급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인터넷 발급 또한 별도의 수수료는 없습니다.

 

1. 정부24(https://gov.kr) 접속하여 로그인 누르기

 

2. 아이디, 공인인증서 등을 이용하여 로그인

 

3. 첫 화면에서 '찾으시는 서비스를 입력하세요' 칸에 '지방세납세증명'을 입력 후 오른쪽 돋보기 모양을 누릅니다.

4. 검색결과에서 '지방세납세증명'을 찾아 우측 '발급' 버튼을 누릅니다.

 

5. 사업자구분, 주소, 전화번호 등 입력

  - 사업자구분은 개인, 법인 중에 선택 가능하며 개인의 경우 주민등록번호 전체를 표기할 것인지, 일부만

    표기할 것인지 선택이 가능합니다.

6. 증명서 사용목적 선택: 대금수령, 해외이주, 부동산신탁등기, 그밖의목적 중 선택

  - 대금수령 선택: 대금지급자 입력

  - 해외이주 선택: 해외이주 허가번호, 이주허가일 입력

  - 그밖의목적 선택: 별도 입력난 없음

    * 부동산 신탁등기를 선택하는 경우에는 방문발급만 가능합니다.

 

7. 발급부수, 수령방법 선택: 수령방법란 우측의 '검색'을 누르시면 온라인발급과 방문수령 중에

    선택할 수 있습니다.

  - 방문수령시에만 수령기관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 수령방법에서 우측의 '검색'을 누르시면 아래와 같이 수령방법이 나오는 데 원하는 방법을 선택하시면 됩니다.

지방세납세증명서

8. 구비서류 열람 사전동의: 인터넷으로 발급신청을 하는 경우 구비서류 열람 사전동의에서 전체선택을 하지

    않으면 발급신청을 할 수 없습니다.

지방세납세증명서

 

9. 민원신청하기 누르기: 민원신청하기를 누르신 후 MyGOV -> 나의 서비스 -> 서비스 신청내역에서 신청결과 확인이 가능합니다.

 

 

지금까지 지방세납세증명서의 발급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많은 도움이 되셨길 바라며 다음 포스팅에서도 보다 유익한 정보로 찾아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지방세납세증명서
지방세납세증명서
지방세납세증명서
지방세납세증명서
지방세납세증명서
지방세납세증명서
지방세납세증명서
지방세납세증명서
지방세납세증명서

 

 

댓글